1. 설치
sudo apt-get install vsftpd
2. conf 설정
sudo vi /etc/vsftpd.conf
(1) 사용자 계정으로 읽기 / 쓰기 설정
local_enable=YES
write_enable=YES
local_unmask=022
(2) PASV 모드설정 - 패시브모드 사용시 방화벽 포트 개방해야됨.
pasv_enable=YES
pasv_min_port= 5001
pasy_max_port=5001
(3) 계정 설정
chroot_local_user=YES
chroot_list_enable=YES
chroot_list_file=/etc/vsftpd.chroot_list
sudo vi /etc/vsftpd.chroot_list <= 접속 허용 계정을 적어준다.
root
user1
user2
(3) Port 번호 변경
listen_port=2121
(4) 루트 / 사용자계정 기본경로 변경 (흠.. 그냥 기본으로 사용함이. ㅎㅎ)
sudo vi /etc/passwd
(5) root 계정 접속 안될경우(530 Login incorrenct error)
pam_service_name=ftp
세팅 완료 후 재시작
sudo /etc/init.d/vsftpd restart
[SSH]
1. ssh root 계정 접속허용
sudo vi /etc/ssh/sshd_config
PermitRootLogin yes
'리눅스 프로그래밍 > 리눅스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 리눅스 패스 설정 (0) | 2014.01.15 |
---|---|
[파일전송]scp 명령어 (0) | 2014.01.15 |
VI/VIM 단축키 (0) | 2012.02.03 |
tar 명령어 모음 (0) | 2011.05.16 |
서버 사양 알아보기 (0) | 2011.03.17 |